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 글465

교보생명 위법 사항 I. 교보생명 위법 사항 1. 금융회사지배구조에 관한 법률 제22조 제1항 위반에 대하여 국민신문고를 통해 2020.6월 금융위원회 및 금융감독원에 신고후 2020.10월 교보생명 종합감사시 감사반장 강진순에게 신고함. 2. 2020.12.17.일 산업안전보건법 위반에 대하여 서울지방고용노동청에 진정하여 2020.3.23.일 법위반에 대하여 과태료 320만원이 부과됨 3. 2021.2.1.일 근로복지기본버 위반에 대하여 서울지방고용노동청에 진정하여 2021.6.2.일 법위반에 대하여 과태료 100만원이 부과됨 II. 공익신고자 불이익 조치 1. 금융회사지배구조에 관한 법률 위반에 대하여 회사는 법적으로 문제 없다고 하였지만 교보생명 부도덕성이 밝혀지자 노조위원장이자 우리사주조합장인 이홍구에 대하여 해고를.. 2024. 9. 22.
교보생명 임금피크제의 법적 문제점과 소송 가능성 임금피크제는 나이와 경력을 기준으로 임금을 삭감하면서도 근로자에게 고용을 유지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제도로, 대한민국 다수 기업에서 도입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임금피크제는 법적 측면에서 여러 문제를 제기할 수 있으며, 특히 교보생명의 경우도 임금피크제 구조상 몇 가지 법적 문제점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법적 문제점과 함께 소송 가능성 및 해결 방안을 검토해보겠습니다. 1. 교보생명의 임금피크제 구조교보생명 임금피크제는 직원이 만 55세에 도달하면 두 가지 선택지를 제공합니다. 1. 36개월치 기본급을 받고 퇴사하거나, 2. 계속 근무할 경우, 임금 삭감이 이루어집니다: - 56세: 전년도 임금의 90% - 57세: 80% - 58세: 70% - 59세: 60% - 60세: 50% 문제는 임금은.. 2024. 9. 19.
임금피크제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 교보생명 사례를 중심으로 교보생명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많은 기업들이 고령화 사회에 대비해 임금피크제를 도입하고 있습니다. 임금피크제는 나이가 들수록 점진적으로 임금을 삭감하는 제도로, 고용 안정을 도모하면서도 회사의 인건비 부담을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교보생명의 임금피크제 구조를 살펴보고, 이 제도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을 논의해보겠습니다. 1. 교보생명의 임금피크제 구조 교보생명에서는 임금피크제를 통해 55세에 도달한 직원들에게 두 가지 선택지를 제공합니다. 1. 36개월치의 보상금(기본급 기준)을 받고 퇴사하는 경우 2.퇴사하지 않고 55세부터 임금을 점차적으로 삭감하여 받는 경우: • 56세: 전년도 임금의 90% • 57세: 80% • 58세: 70% • 59세: 60% • 60세: 50% 이러.. 2024. 9. 19.
부당해고: 대처법과 금전 보상, 구제신청까지 총정리 부당해고: 대처법과 금전 보상, 구제신청까지 총정리 직장에서 부당하게 해고된 경험은 누구에게나 큰 충격일 것입니다. 특히 정당한 사유 없이 해고를 당했을 때, 그 피해는 더욱 크죠. 부당해고란 근로기준법 등 법적 규정에 맞지 않는 해고를 의미합니다. 오늘은 부당해고를 당했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하고, 금전적 보상과 구제신청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부당해고란?부당해고는 근로자가 정당한 이유 없이 해고되었거나, 해고 절차가 법에 어긋난 경우를 말합니다. 회사가 해고를 통보할 때 근로기준법에 따른 절차를 지키지 않거나, 정당한 해고 사유 없이 근로자를 해고하는 것이 대표적입니다. 부당해고의 사례 정리해고를 가장한 해고: 회사가 경영난을 이유로 정리해고를 하지만 실제로는 특정 근로자를 해고하기 위한 수.. 2024. 9. 19.
728x90